"우리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용돈의 경제학" 특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4-12-11 10:44 조회2,250회 댓글0건본문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어릴 때부터 자녀에 대한 금융교육이 매우 전무한 실정입니다. 또한 자신의 속한 직장으로부터도 재테크나 여러 금융교육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입니다. 그렇다보니 기본적으로 자신의 자산관리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올바르지 못한 투자의 유혹에 빠져 자신의 가정과 직장에 큰 피해를 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내 아이를 훌륭한 미래의 리더로 키우고싶은 게 부모의 마음입니다.
이에 (주)위드림파워에서는 자녀를 둔 부모, 예비 부모님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특강을 실시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석을 바랍니다.
- 다 음 -
1)주최 : (주)위드림파워 영남지역본부(노동부지정 사회복지분야 전문 고용보험 환급 교육기관)
2)일시 : 2011. 3. 15(화) 오후 7:30 - 오후 10:00(2시간30분)
3)장소 : 부산시양정청소년수련관
4)특강주제 : “우리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용돈의 경제학”
- 현명한 부모는 돈보다 지혜를 상속한다-
5)강사 : 박남철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사회복지학 전공) 석사
- 전, 부산 두송종합사회복지관,두송지역자활센타 근무/부산시사회복지사협회 사무국장(1997년)
- 전, 부산외국어대, 부산여대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경남정보대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 현, 사회복지품질경영연구회 책임연구원(www.wqm.or.kr)
- 현, 호주ICL Korea 사회복지분야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 현, 미래에셋생명 무한3지점장(금융교육 강사)
6)참석대상 : 복지기관/요양기관/자활기관 직원, 요양보호사, 자원봉사자, 후원자, 지역주 민,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및 원아 부모 등
7)교육비 : 1인 30,000원 / 부부 참석 시 5만원(3/10일까지 입금. 10명 미만 시 폐강)
8)입금 계좌번호 : 부산은행 207-12-040755-2 (예금주 : 이병주)
9)문의처 : (주)위드림파워 영남지역본부장 이병주 018-557-4617/051-761-5554
10)신청기한 : 3/10(목)까지 참가신청서를 팩스 051-761-5570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어린이 금융교육은 왜 중요한가 1부
2. 특강 Contents 1부
3. 참가신청서 1부 끝.
......................................................................................................
“우리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용돈의 경제학" Contents
("어린이 금융교육은 미래의 리더를 위한 인성교육이다")
Part 1 용돈교육은 아이들의 경제감각을 키운다
1. 용돈은 언제부터, 얼마를 주어야 하는가
2. 용돈은 박봉의 샐러리맨처럼 주어야 한다
3. 올바른 용돈관리는 잘 나누는 것에서 출발한다
4. 투자에 이름을 붙이고 메시지로 활용하라
5. 친지들이 주는 용돈은 모두 투자에 사용하라
6. 용돈기입장은 아이의 재무제표다
7. 빚의 무서움은 빨리 알수록 좋다
Part 2 용돈교육은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운다
1. 아이의 욕망은 다스리고 필요는 충족시킨다
2. 돈으로 아이의 행동을 컨트롤하지 마라
3. 몸값을 높이는 것은 ‘부의 공식’이다
4. 용돈교육은 학교성적을 높인다
5. 눈 앞의 과자 한 개보다 한시간 뒤의 과자 두 개가 좋다(ex. 마시멜로 이야기)
6. ‘씀씀이’로 본 우리 아이의 성향(스쿠르지형/행복한 왕자형/낭비벽형/편집증적 집착형)
7. 기부는 ‘돈의 힘’을 알게 한다
Part 3 부모가 먼저 배우고 생활 속에서 실천한다
1. ‘떼와 응석’은 부모의 마음을 조정하는 기술이다
2. 부모의 죄의식을 버리고 당당하게 대하라
3. 쇼핑은 필요한 일과이지 즐거운 놀이가 아니다
4. 위대한 투자가는 물건을 싸게 산다
5. 친구들에게 ‘싫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하자
6. 바람직한 소비를 유도하고 싶다면 보조하라
Part 4 자산관리의 기본원리(부모가 먼저 배우고 알아야 실천할 수 있다)
-콩나물 이론
-단리와 복리의 차이
-시간의 법칙
-파킨슨 법칙
-독서의 법칙
-포토폴리오(ex. 연5% 수익률로 원금을 보존하고 싶다면....)
-우리나라 투자환경
: 금리와 물가상승율의 관계 / 저금리 현상
: 부동산가격의 위험이 커져 있다
: 주식이 아파트보다 낫다 / 주식시장의 전망
: 자산관리에 대한 새로운 개념
이에 (주)위드림파워에서는 자녀를 둔 부모, 예비 부모님을 대상으로 아래와 같이 특강을 실시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석을 바랍니다.
- 다 음 -
1)주최 : (주)위드림파워 영남지역본부(노동부지정 사회복지분야 전문 고용보험 환급 교육기관)
2)일시 : 2011. 3. 15(화) 오후 7:30 - 오후 10:00(2시간30분)
3)장소 : 부산시양정청소년수련관
4)특강주제 : “우리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용돈의 경제학”
- 현명한 부모는 돈보다 지혜를 상속한다-
5)강사 : 박남철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학사/부산대학교 행정대학원(사회복지학 전공) 석사
- 전, 부산 두송종합사회복지관,두송지역자활센타 근무/부산시사회복지사협회 사무국장(1997년)
- 전, 부산외국어대, 부산여대 사회복지학과 외래교수/경남정보대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 현, 사회복지품질경영연구회 책임연구원(www.wqm.or.kr)
- 현, 호주ICL Korea 사회복지분야 ISO9001품질경영시스템 인증심사원
- 현, 미래에셋생명 무한3지점장(금융교육 강사)
6)참석대상 : 복지기관/요양기관/자활기관 직원, 요양보호사, 자원봉사자, 후원자, 지역주 민, 유치원/어린이집 교사 및 원아 부모 등
7)교육비 : 1인 30,000원 / 부부 참석 시 5만원(3/10일까지 입금. 10명 미만 시 폐강)
8)입금 계좌번호 : 부산은행 207-12-040755-2 (예금주 : 이병주)
9)문의처 : (주)위드림파워 영남지역본부장 이병주 018-557-4617/051-761-5554
10)신청기한 : 3/10(목)까지 참가신청서를 팩스 051-761-5570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어린이 금융교육은 왜 중요한가 1부
2. 특강 Contents 1부
3. 참가신청서 1부 끝.
......................................................................................................
“우리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우기 위한 용돈의 경제학" Contents
("어린이 금융교육은 미래의 리더를 위한 인성교육이다")
Part 1 용돈교육은 아이들의 경제감각을 키운다
1. 용돈은 언제부터, 얼마를 주어야 하는가
2. 용돈은 박봉의 샐러리맨처럼 주어야 한다
3. 올바른 용돈관리는 잘 나누는 것에서 출발한다
4. 투자에 이름을 붙이고 메시지로 활용하라
5. 친지들이 주는 용돈은 모두 투자에 사용하라
6. 용돈기입장은 아이의 재무제표다
7. 빚의 무서움은 빨리 알수록 좋다
Part 2 용돈교육은 아이를 미래의 리더로 키운다
1. 아이의 욕망은 다스리고 필요는 충족시킨다
2. 돈으로 아이의 행동을 컨트롤하지 마라
3. 몸값을 높이는 것은 ‘부의 공식’이다
4. 용돈교육은 학교성적을 높인다
5. 눈 앞의 과자 한 개보다 한시간 뒤의 과자 두 개가 좋다(ex. 마시멜로 이야기)
6. ‘씀씀이’로 본 우리 아이의 성향(스쿠르지형/행복한 왕자형/낭비벽형/편집증적 집착형)
7. 기부는 ‘돈의 힘’을 알게 한다
Part 3 부모가 먼저 배우고 생활 속에서 실천한다
1. ‘떼와 응석’은 부모의 마음을 조정하는 기술이다
2. 부모의 죄의식을 버리고 당당하게 대하라
3. 쇼핑은 필요한 일과이지 즐거운 놀이가 아니다
4. 위대한 투자가는 물건을 싸게 산다
5. 친구들에게 ‘싫어’라고 말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하자
6. 바람직한 소비를 유도하고 싶다면 보조하라
Part 4 자산관리의 기본원리(부모가 먼저 배우고 알아야 실천할 수 있다)
-콩나물 이론
-단리와 복리의 차이
-시간의 법칙
-파킨슨 법칙
-독서의 법칙
-포토폴리오(ex. 연5% 수익률로 원금을 보존하고 싶다면....)
-우리나라 투자환경
: 금리와 물가상승율의 관계 / 저금리 현상
: 부동산가격의 위험이 커져 있다
: 주식이 아파트보다 낫다 / 주식시장의 전망
: 자산관리에 대한 새로운 개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